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건강과 웰빙

맥 도날드 대장균 사건 : O157

by 빠쁑이네 2024. 10. 27.
반응형

최근 미국에서 발생한 맥도날드 대장균 사건은 캘리포니아주에서 유통된 생양파가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큰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이 사건은 10개 주에서 발생했으며, 49명이 감염되어 한 명이 사망하고 10명이 병원에 입원했습니다. 모든 환자가 맥도날드의 ‘쿼터파운더’ 햄버거를 먹었으며, 해당 햄버거에 사용된 생양파에서 문제가 된 대장균(O157 )이 검출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대장균-사진
대장균

대장균 O157은 심한 위장장애와 출혈성 장염을 일으키는 균으로, 주로 고온 살균되지 않은 유제품이나 생고기, 오염된 채소 등을 통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이 균은 어린이, 노인,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 치명적일 수 있어서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내 수입 식품에 대한 검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문제의 생양파가 국내에는 반입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하며, 국민에게 안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특징 및 발병 메커니즘

E. coli O157은 다른 대장균과 달리 용혈성 요독 증후군(Hemolytic Uremic Syndrome, HUS)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HUS는 신장을 손상시키는 질환으로, 신부전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고 주로 오염된 육류, 특히 소고기를 통해 감염되며, 충분히 익히지 않은 고기나 오염된 채소, 물을 통해서도 전염됩니다​.

최근 연구 동향과 감염 경로

 O157은 주로 오염된 소고기, 잎채소, 생수 등을 통해 전염됩니다. 잎채소와 같은 농작물의 경우, 이웃한 가축 농장에서 배출된 배설물이 물을 통해 흘러가면서 교차오염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미국에서는 로메인 상추와 같은 잎채소에서 발생한 사례들이 자주 보고되어 오염 경로를 신속히 추적하는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새로운 검사법을 통해 오염을 더 빠르게 감지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잦은 식중독 사례와 함께, CDC(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오염된 식품의 출처를 빠르게 확인하고 차단하기 위한 추적 시스템을 강화하는 법안을 제안하고 있으며, 디지털 기록과 같은 기술적 접근이 병행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O157균주가 특정 환경에서 저항성을 갖는 변이를 보임을 발견했습니다. 특히 식품 저장과 가공 과정에서 열이나 소독제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감염 예방을 위한 새로운 소독 방법과 냉장 보관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기술적 발전은 식품 안전성을 높이고 감염 가능성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O157진단에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으나, 최신 연구는 분자진단법과 신속 항원검사를 도입해 감염을 빠르게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기술은 발병 원인을 빠르게 밝혀내고, 초기 단계에서 환자 치료와 감염 확산 차단에 큰 도움이 됩니다.

​​예방 및 관리 방안

O157은 열에 약하므로, 고기를 71°C 이상에서 완전히 익혀야 합니다. 특히 다진 고기나 햄버거 패티와 같은 가공육은 내부까지 고르게 익히는 것이 중요하고, 가정에서도 고기를 굽기 전에 내부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조리용 온도계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채소와 과일의 철저한 세척이 필요한 데 특히 잎채소는 조리하지 않고 생으로 섭취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세척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흐르는 물에 여러 번 헹구고, 필요에 따라 과일과 채소 소독제를 사용하여 오염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가정에서 요리 시 손을 깨끗이 씻고, 주방 도구를 따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생고기를 다룬 도마나 칼 등은 세척과 소독을 철저히 해 교차 오염을 방지해야 합니다. 식품을 보관할 때에는 고기와 채소를 구입 후 즉시 냉장 보관하고, 식품을 냉장고에서 꺼낼 때도 개별 포장을 유지해 접촉을 최소화합니다. 날고기와 채소를 분리하여 보관하는 것도 감염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우리나라 현황

우리나라에서도 장출혈성대장균(E. coli) O157에 의한 식중독 사례가 꾸준히 보고되고 있습니다. 특히 여름철과 장마철에는 기온과 습도가 높아 균이 더 쉽게 번식할 수 있기 때문에 O157로 인한 집단감염 위험이 증가합니다. 최근의 연구는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 발생과 기후 변화 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평균기온, 강수량, 습도 등의 요소가 O157 감염 발생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O157 식중독 사건 중 하나는 1997년 미국산 쇠고기에서 O157균이 검출된 사례입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대장균 O157의 위험성이 널리 인식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O157에 대한 예방 조치가 강화되었습니다. O157균은 소고기, 채소, 생우유 등의 다양한 식품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특히 어린이와 면역력이 약한 노인들에게는 용혈성 요독 증후군(HUS)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감염 시 복통, 설사, 출혈성 장염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치료에는 대증치료와 일부 항생제가 사용될 수 있지만 항생제 사용은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처를 비롯한 보건 당국은 개인위생과 식품 위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물과 식재료는 충분히 가열하여 섭취하고, 음식을 준비할 때 손을 자주 씻는 등 개인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